연계전공
1. 신청기간: 매 학년도 1월, 7월(연 2회)
2. 신청자격: 소속학과 기준 1학년을 수료한 재학생(신청 해당 학기 계절학기 학점은 제외)
1) 1학년 수료 기준학점
소속학과 |
1학년 수료기준 |
비고 |
---|---|---|
- 의과대학 간호학과 |
취득학점 35학점 이상 |
성적이 F, NP인 과목은 취득학점에서 제외 |
상기 학과를 제외한 나머지 학과 |
취득학점 33학점 이상 |
※ 2019학년도 이전 입학한 공과대학 소속 학생의 1학년 수료학점 기준은 취득학점 35학점 이상으로 적용(2020학년도부터 공과대학 졸업이수학점 변동)
2) 졸업예정자 및 휴학생의 경우에는 신청 불가함
3. 신청방법: 학사공지에 공고되는 기간내 온라인 신청 [신청 바로가기]
4. 모집전공: [연계전공 소개 자료 바로가기]
창의인문경영 / 인문융합콘텐츠기획 / 동북아인문프론티어
※ 모집하는 시기에 따라 모집전공은 다소 변경될 수 있음.
5. 선발기준: 해당학년도 모집정원 내에서 평점평균 순으로 선발(동점자가 있을 경우에는 취득학점 높은 순)
※ 항공비즈니스 전공의 경우 면접을 실시하며, 별도의 선발기준을 적용함
6. 중도포기
매 학년도 6월, 12월(연 2회) 온라인 신청 [포기신청 바로가기] / 4학년 1학기 종료전까지
※ 졸업예정학기(통상 4학년 2학기 개강 후)로 등재된 경우 온라인 포기신청 불가
7. 중도포기시 기존 취득한 연계전공 교과목 처리
2011학번 이전 |
2012학번부터 |
---|---|
이미 이수한 연계전공 교과목은 계열에 관계없이 소속 학과의 전공심화 교과목으로 최대 18학점 범위내에서 인정한다. |
이미 이수한 연계전공의 전공교과목은 자유선택으로 인정한다. 다만, 소속학과의 전공선택과목이거나 혹은 인정교과목으로 지정된 교과목은 전공선택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
※ 성적표상 이수구분은 자유선택으로 표기되며, 졸업사정시 상기의 원리가 적용됨 ※ 본인학과의 전공선택 과목과 명칭이 일치하는 과목의 경우 성적증명서상 이수구분을 전공선택으로 변경신청이 가능함 |
8. 적용연도별 이수방법 안내
2015학년도 이후 기본원리 |
---|
교양교과는 원소속학과 기준으로 이수해야 하고, 원 소속학과의 전공교과 45학점, 연계전공 에서 45학점을 이수하여야 한다. 소속학과의 전공필수는 전체를 이수하여야 한다. 단, 공과대학 전공기초 과목은 전공교과 45학점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지정된 과목을 모두 이수해야 한다. |
[예시] 2017학번 영어영문학과(주전공) 소속 학생이 항공비즈니스 연계전공을 하는 경우
[이수방법 간단요약] 1. 교양교과의 경우에는 원 소속학과 기준으로 모두 이수한다. ※ 영역별 이수학점표상 교양교과라고 되어 있는 영역과, 학문기반교과를 모두 이수한다. 2. 원 소속학과(주전공) 전공필수의 경우 졸업 이수학점표상의 학점만큼 모두 이수한다. 3. 원 소속학과(주전공) 전공선택의 경우 45학점에서 전공필수 학점을 차감한 만큼 이수한다. ※ 학과별로 지정된 전공필수 학점에 따라 전공선택 이수학점이 가변적임 4. 연계전공학과에서 편성된 전공과목 중에서 총 45학점을 이수한다.(필수/선택 구분 없음) 5. 자유선택의 경우 원 소속학과 기준 졸업학점에서 교양학점, 주전공학점, 연계전공 학점을 차감한 나머지 학점만큼만 추가로 이수하면 된다. ※ 경우에 따라 차감 후 0 이하인 경우가 있으며. 이럴 경우 자유선택을 추가로 이수할 필요가 없다. 6. 공과대학 특별적용 원 소속학과(주전공)가 공과대학인 경우 원 소속학과 기준으로 전공기초를 모두 이수한다. |
2012~2014학년도 기본원리 |
---|
교양교과는 원소속학과 기준으로 이수해야 하고, 원 소속학과에서는 전공필수 전체와 전공선택 9학점을, 연계전공 학과에서는 45학점을 이수하여야 한다. 단, 공과대학 전공기초 과목은 지정된 과목을 모두 이수해야 한다. |
[예시] 2014학번 수학과(주전공) 소속 학생이 동북아인문프론티어 연계전공을 하는 경우
[이수방법 간단요약] 1. 교양교과의 경우에는 원 소속학과 기준으로 모두 이수한다. ※ 영역별 이수학점표상 교양교과라고 되어 있는 영역과, 학문기반교과를 모두 이수한다. 2. 원 소속학과(주전공) 전공필수의 경우 졸업 이수학점표상의 학점만큼 모두 이수한다. 3. 원 소속학과(주전공) 전공선택의 경우 9학점을 이수한다. 4. 연계전공학과에서 편성된 전공과목 중에서 총 45학점을 이수한다.(필수/선택 구분 없음) 5. 자유선택의 경우 원 소속학과 기준 졸업학점에서 교양학점, 주전공학점, 연계전공 학점을 차감한 나머지 학점만큼만 추가로 이수하면 된다. ※ 경우에 따라 차감 후 0 이하인 경우가 있으며. 이럴 경우 자유선택을 추가로 이수할 필요가 없다. 6. 공과대학 특별적용 원 소속학과(주전공)가 공과대학인 경우 원 소속학과 기준으로 전공기초를 모두 이수한다. |
2006~2011학년도 신입생 이수방법 |
---|
교양교과는 원소속학과 기준으로 이수해야 하고, 원 소속학과의 전공기본 전체와 연계전공 학과에서는 36학점을 이수하여야 한다. 단, 공과대학 전공기초 과목은 지정된 과목을 모두 이수해야 한다. |
[예시] 2011학번 공과대학 기계공학과 학생이 GLP 연계전공을 하는 경우
[이수방법 간단요약] 1. 교양교과의 경우에는 원 소속학과 기준으로 모두 이수한다. ※ 영역별 이수학점표상 교양교과라고 되어 있는 영역과, 학문기반교과를 모두 이수한다. 2. 원 소속학과(주전공) 전공기본의 경우 졸업 이수학점표상의 학점만큼 모두 이수한다. 3. 연계전공학과에서 편성된 전공과목 중에서 총 36학점을 이수한다.(필수/선택 구분 없음) 4. 자유선택의 경우 원 소속학과 기준 졸업학점에서 교양학점, 주전공학점, 연계전공 학점을 차감한 나머지 학점만큼만 추가로 이수하면 된다. 5. 공과대학 특별적용 원 소속학과(주전공)가 공과대학인 경우 원 소속학과 기준으로 전공기초를 모두 이수한다. |
9. 교과목 명칭 중복에 따른 특례
원 소속학과에서 취득한 전공필수(전공기본) 및 전공선택(전공심화) 교과목이 불가피하게 연계전공의 교과목과 중복(과목명이 정확히 일치)되는 경우에는 그 중복된 학점만큼 연계전공에서 추가로 이수하여야 한다.
10. 기타사항
가. 연계전공자는 원소속학과의 졸업논문 뿐만 아니라 연계전공의 졸업논문도 함께 제출하여 모두 심사에 통과하여야 졸업이 가능함
나. 고학년의 경우에도 신청시점기준 1학년 수료학점 이상만 취득하면 신청에 제한이 없으나 과목의 추가 이수로 인해 졸업시기가 늦어질 수 있음
다. 복수전공이나 자기설계연계전공을 이수중인 학생의 경우 연계전공을 추가적으로 신청할 수 없으므로 연계전공 신청을 하고자 할 경우 복수전공, 자기설계연계전공을 사전에 포기한 후 신청할 것